원양어선 선원 취업, 고임금에도 인력난 심각...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원양어선 선원 취업은 높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해양수산업계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원양어선 선원 취업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원양어선 선원의 현황과 임금
원양어선 선원의 월평균 임금은 801만원으로, 다른 선박 업종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선장의 경우 연봉이 5억에서 10억원에 달하는 경우도 있어 고소득 직종으로 꼽힙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원양어선 선원의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2013년 1400명에 육박했던 해기사 수는 매년 감소해 2022년에는 980명으로 줄었습니다.
원양어선 선원 취업의 문제점
1. 심각한 인력난과 고령화
원양어선 업계는 극심한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젊은 구직자들이 힘든 원양어선 일을 기피하면서 신입 충원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또한, 50세 이상의 원양어선 해기사가 전체의 82.3%를 차지할 정도로 고령화가 심각합니다.
2. 해외 이탈 현상
숙련된 해기사들의 해외 이탈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필리핀, 대만, 중국 등의 참치 선망 선단에 취업한 한국인 해기사는 최소 100명에 달합니다. 이는 국내 원양어선 전체 취업자의 10%를 웃도는 수치입니다.
3. 열악한 근로환경과 안전 문제
원양어선의 근로환경은 매우 열악하며, 해양사고의 위험도 높습니다. 2016년 해양사고 선박 중 어선이 차지하는 비율이 80.6%에 달했으며, 선원 재해 천인율도 100.0‰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원양어선 선원 취업 문제의 해결방안
1. 근로조건 개선 및 복지 확대
선원의 근로여건을 개선하고 복지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선원 최저임금 인상, 실습선 신조 등 교육 인프라 확충, 인권교육 법제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 안전관리체제 도입
연근해어선의 해양사고와 재해 저감을 위해 체계적인 안전관리 도입이 필요합니다. ISM Code를 바탕으로 한 안전관리체제(SMS) 시행이 재해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3. 외국인 인력 도입 검토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 해기사의 국내 원양어선 승선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선박직원법 개정 등의 법적 절차가 필요합니다.
4. 젊은 인재 유치를 위한 노력
교육·고용·보건안전 등 선원에 대한 전주기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젊고 우수한 인재들이 선원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5. 산학 협력 강화
해기사 신규 양성을 위해 산학 간 현장실무체험 과정을 개설하는 등 산학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원양어선 선원 취업 문제는 단순히 임금 문제만이 아닌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 업계, 교육기관 등이 협력하여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원양어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안전하고 매력적인 일자리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출처>
- 한국인 선원 월 평균임금 469만원…원양어선 월급은? - 동아일보
- 원양어선 연봉 배 타는 기간과 취업 방법을 알아보자 : 네이버 블로그
- 베테랑 선장 해외로, 선원은 만성부족…해양식량 안보 흔들린다
- 베테랑 선장 해외로, 선원은 만성부족…'해양식량 안보' 흔들린다 - Daum
- 성과관리 시행계획 - 정부업무평가
- A basic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
- 원양업계 '엑소더스'…2030년엔 100척 승선할 항해·기관사 모자라
- 성과관리 시행계획 - 정부업무평가
- A basic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
- 한국인 선원 평균 월급 497만원…10명 중 8명은 40대 이상 - 연합뉴스
댓글